맨위로가기

유응 (서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응은 서진의 인물로, 북평태수를 지냈다. 그의 6대손 유유가 유송을 건국한 후 우북평부군으로 추존되어 칠묘에 위패가 안치되었다. 유송 무제가 즉위하여 칠묘에 배향되었으나, 유의부가 즉위한 후 묘역은 철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북조 시대의 추존황제 - 모용황
    모용황은 333년부터 348년까지 전연을 통치한 인물로, 형제들과의 내분을 극복하고 전연을 건국하여 세력을 확장했으며, 고구려를 공격하고 한화 정책을 통해 국가 체제를 정비하다가 낙마 사고로 사망했다.
  • 남북조 시대의 추존황제 - 요익중
    요익중은 오호십육국시대 강족 수장으로, 유랑민을 규합하여 세력을 키우고 전조와 후조에 복속하며 활약하다가 후조 말기에는 독립적인 세력을 구축하고 동진에 귀순했으나 곧 병사했으며, 그의 삶은 혼란스러운 시대 속에서 강족을 이끌며 생존을 모색했던 지도자의 모습을 보여주며 후대 후진 건국에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군주 - 광서제
    광서제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으며, 서태후의 섭정 아래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유폐된 채 사망했다.
  • 중국의 군주 - 한나라
    한나라는 유방이 기원전 206년에 건국하여 220년에 멸망할 때까지 400년 이상 지속되었으며 전한과 후한으로 나뉘어 문화, 경제, 유교, 실크로드, 과학기술 등 중국 역사와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왕조이다.
  • 생몰년 미상 - 유급
    유급은 전한 말기에 신양후에 봉해졌으나, 전한 멸망으로 작위를 잃은 유영의 아들이다.
  • 생몰년 미상 - 야스케
    야스케는 16세기 일본에 기록된 최초의 아프리카인으로,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으로 특별한 대우를 받았으며, 혼노지의 변에서 함께 싸웠으나 이후 행적은 불확실하고,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소재로 활용된다.
유응 (서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래 이름右北平府君
본명유응(劉膺)
시호우북평부군(右北平府君)
생애
출생일불명
출생지불명
사망일불명
사망지불명
가족 관계
배우자불명
자녀상국연부군
부친유량(劉亮)
모친불명
관직 및 지위
재위(추존)
전임자2유량(劉亮)
후임자2상국연부군
후임자상국연부군
작위2송무제의 열조부
기타
종교불명
가문유씨(劉)
왕조유송
목록유송 칠묘 배향자

2. 생애

생전 서진의 북평태수(北平太守)를 지냈고, 420년 6대손 유유가 유송을 건국하자 우북평부군(右北平府君)으로 추존되어 칠묘위패가 안치되었다.

유유가 송왕(宋王)일 시기 제후는 5묘까지 배향하는 법칙 때문에 배향되지 못하였다가 황제로 즉위해 천조와 열조를 배향할 수 있게 되자 유응을 마지막으로 칠묘에 배향하였다.

422년 무제가 죽고 유의부가 즉위하자 우북평부군의 묘역은 철거되었다.

3. 계보

3. 1. 선조

유인을 17대조로, 유태공을 16대조로, 초원왕 유교를 15대조로 한다. 14대조는 홍의후 유부이며, 13대조는 종정 유벽강이다. 12대조는 양성목후 유덕, 11대조는 양성절후 유안민, 10대조는 양성희후 유경기이다.

비조부는 양성숙후 유잠이며, 원조부는 종정 유평이다. 태조부는 동무성령 유모(劉某), 열조부는 동래태수 유경, 현조부는 명경 유흡이다. 고조부는 박사 유홍, 증조부는 낭야도위 유리, 조부는 정양태수 유모(劉某)이다. 부친은 사성현령 유량이며, 모친은 불명이다.

3. 2. 후손

유희는 유응의 아들로 상국연부군(相國掾府君)을 지냈다. 손자 유욱손은 개봉부군(開封府君)을 지냈다. 증손 유혼은 무원부군(武原府君)을 지냈다. 현손 유정은 동안부군(東安府君)을 지냈다. 내손 유교는 효목제(孝穆帝)이다. 곤손은 송무제이다.

4. 남조 황제 가계도

{{둘러보기 상자

|이름 = 중국 남조의 황제

|제목 = 중국 남조의 황제

|전체속성 = hlist

|제목모양 = text-align:center; background:gold;

|윗글모양 = text-align:center; background:khaki;

|묶음모양 = text-align:center; background:khaki;

|묶음1 = 유송(劉宋)

|내용1 = {{둘러보기 상자|중첩

|묶음모양 = text-align:center; width:2em; background:#E9D66B;

|묶음1=추숭

|내용1=


|묶음2=통치

|내용2=
|묶음3=자립

|내용3=

  • 진안왕

|묶음4=찬탈

|내용4=
}}

|묶음2=남제(南齊)

|내용2={{둘러보기 상자|중첩

|묶음모양 = text-align:center; width:2em; background:#E9D66B;

|묶음1=추숭

|내용1=
|묶음2=통치

|내용2=
|묶음3=자립

|내용3=
}}

|묶음3=(梁)

|내용3={{둘러보기 상자|중첩

|묶음모양 = text-align:center; width:2em; background:#E9D66B;

|묶음1=추숭

|내용1=
|묶음2=남량

|내용2=
|묶음3=후량

|내용3=
|묶음4=자립

|내용4=
}}

|묶음4=한(漢)

|내용4={{둘러보기 상자|중첩

|묶음모양 = text-align:center; width:2em; background:#E9D66B;

|묶음1=추숭

|내용1=
|묶음2=통치

|내용2=
}}

|묶음5=(陳)

|내용5={{둘러보기 상자|중첩

|묶음모양 = text-align:center; width:2em; background:#E9D66B;

|묶음1=추숭

|내용1=
|묶음2=통치

|내용2=
}}

|아랫글=

|아랫글모양 =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gold;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